-
Spring cloud gateway - 2. Spring cloud gateway 프로젝트 만들기Spring Cloud/Spring Cloud GateWay 2023. 12. 11. 17:32728x90
Spring initializer - Dependencies에 기존엔 Spring Web을 했다면 이번엔 웹 WebFlux를 사용하기위해 Spring Reactive Web을 사용했다.
- 공식 문서를 보니 이제 Spring cloud gateway MVC란 것이 생겨서 Spring MVC 로도 gateway를 만들수 있는 것 같다. 그래서 Reactive Gateway와 그냥 Gateway 2가지로 나눠져 있는데, WebFlux를 사용해보기 위해 Reactive Gateway를 선택했다.
application.yml - 이건 설정하지 않아도 되는데, 보통 gateway는 80포트 (http 기본 포트)를 많이 사용한다고 한다.
- https인 443도 있는데, 백엔드 서버까지 넘어오기 전에 앞단에서 https를 까서 http 요청으로 바꾼다고 한다
console - 프로젝트를 실행해보니 기존 tomcat과 로그가 조금 다르다.
- 중간에 많이 적혀있는 Loaded RoutePredicateFactory는 gateway가 url를 filter 할 수 있는 조건들인데, 이것은 공식 도큐먼트에 잘 적혀 있다.
공식 도큐먼트 - 왼쪽 메뉴탭에 GatewayFilter Factory라고 적힌 것들이 위에 적었던 gateway가 url을 filter 할 수 있는 조건들을 정의하는 방법이다.
web - 80port이기 때문에 localhost 만 써도된다
728x90반응형LIST'Spring Cloud > Spring Cloud GateWa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pring cloud gateway - 5. Eureka를 통해 서버 연결하기 (0) 2023.12.14 Spring cloud gateway - 4. filter를 통해 Path 수정하기 (0) 2023.12.13 Spring cloud gateway - 3. 경로를 이용하여 Route하기 (0) 2023.12.13 Spring Cloud Gateway - 1. Spring Cloud Gateway란 (0) 2023.12.11